
아이폰 중고 거래 체크리스트 2025
아이폰은 감가율이 낮고 중고시장에서도 인기가 높아 거래가 활발한 기종이에요. 하지만 그만큼 사기나 문제 있는 기기를 판매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죠. 특히 외관만 보고 거래하는 건 정말 위험할 수 있어요.
아이폰 중고 거래 시에는 꼭 확인해야 할 항목이 있어요. 기종 확인부터 iCloud 로그아웃 여부, 배터리 성능, 보증 상태, 고장 여부까지 하나라도 놓치면 나중에 후회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 ‘아이폰 중고 거래 전 필수 체크리스트’를 순서대로 알려드릴게요. 제가 생각했을 때 이거 한 번 정리해두면 누구든지 사기 없이 좋은 중고 아이폰을 살 수 있어요! 🍎
기종 및 모델 정확히 확인
아이폰은 디자인이 비슷해서 외관만 보고는 어떤 기종인지 구분하기 힘들어요. 그래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설정 > 일반 > 정보’에서 모델명을 정확히 확인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A2484는 아이폰 13 프로 모델이랍니다.
또한 ‘모델 번호’가 ‘M’으로 시작하면 정품이고, ‘N’으로 시작하면 리퍼비시 제품이에요. ‘F’는 리퍼 출고용, ‘3’은 교체용일 수 있으니, 이 점도 꼭 체크해야 해요. 거래할 때 모델명과 함께 ‘모델 시작 영문자’를 함께 물어보면 더 정확해요.
국내 정품 여부도 중요해요. 해외판(예: 홍콩판, 일본판)은 셔터음 제거 안 되고, 일부 통신사에서 LTE나 5G 호환이 안 되는 경우도 있거든요. 국내판인지 자급제인지 통신사 모델인지도 꼭 확인하세요.
정확한 기종명은 거래 플랫폼에 등록된 내용만 믿지 말고, 직접 설정화면에서 확인한 정보를 기준으로 해야 해요. 외형은 같은데 용량과 시세는 큰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
📱 아이폰 모델명별 주요 정보 요약표 🧾
모델명 (예시) | 기종 | 출고 국가 |
---|---|---|
A2484 | 아이폰 13 프로 | 미국판 |
A2890 | 아이폰 14 | 한국판 |
A3101 | 아이폰 15 | 중국판 |
IMEI로 정품 여부 조회하기
IMEI는 아이폰의 주민등록번호 같은 존재예요. 단말기의 고유 식별번호로, 정품 여부, 분실폰 여부, 통신사 등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아이폰에서는 '설정 > 일반 > 정보'에서 IMEI를 확인할 수 있어요.
IMEI 번호는 반드시 메모해두고, '스마트초이스'나 'KAIT 단말기 자급제 확인' 사이트에서 조회해보세요. 이 과정을 거치면 내가 구매하려는 아이폰이 분실 등록된 기기인지, 정상 사용 가능한지 알 수 있어요.
또한 애플 공식 홈페이지(https://checkcoverage.apple.com)에서도 IMEI로 기기의 보증 여부, 정품 등록 여부를 조회할 수 있어요. 판매자가 IMEI 제공을 꺼린다면 거래를 피하는 게 안전해요.

배터리 성능 및 수명 체크
아이폰은 배터리 성능이 80% 미만이면 '성능 저하 알림'이 뜨고, 일부 기능 제한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중고 거래 전에는 반드시 배터리 최대 용량(Health)을 확인해야 해요.
확인 방법은 ‘설정 > 배터리 > 배터리 성능 상태 및 충전’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최대 성능 기능 제공 중'이라는 문구가 있어야 배터리 상태가 양호한 거예요. 이 문구가 없거나 ‘성능 관리 기능 적용 중’이면 배터리 수명이 많이 줄어든 상태예요.
80% 미만인 경우에는 교체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걸 감안해서 가격 협상을 해야 해요. 90% 이상이면 양호, 95% 이상이면 거의 새 배터리라고 봐도 좋아요. 배터리는 눈에 안 보여서 더 중요하답니다. 🔋
활성화 잠금 해제 확인
아이폰 중고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건 ‘iCloud 로그아웃 여부’예요. 활성화 잠금(Activation Lock)이 걸려 있으면, 공장 초기화해도 계정 입력 없이는 사용할 수 없어요. 일종의 보안장치지만, 중고 구매자에게는 함정이 될 수 있죠.
구매 전 반드시 '설정 > 일반 > 전송 또는 iPhone 재설정 > 모든 콘텐츠 및 설정 지우기' 메뉴를 통해 초기화 과정을 확인하고, 초기화 후 '환영합니다'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해야 해요. 이 화면이 안 뜨면 활성화 잠금이 남아 있다는 뜻이에요.
판매자가 “계정은 남아 있지만 바로 로그아웃 가능하다”거나, “패스워드만 넣으면 된다”는 말은 절대 믿지 마세요. iCloud 계정은 판매자가 직접 로그아웃하고 비밀번호까지 완전히 제거해야 거래가 가능해요.
애플케어 및 보증 확인
아이폰은 애플케어나 무상보증 기간이 남아 있으면 중고 시세가 더 높아지고, 구매자 입장에서도 수리 비용 걱정이 줄어요. 그래서 거래 전 애플 공식 페이지에서 보증기간을 꼭 확인해야 해요.
보증 확인은 checkcoverage.apple.com에서 IMEI 또는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면 조회돼요. 남은 기간이 표시되고, 애플케어+ 가입 여부도 확인 가능하죠.
애플케어가 적용된 중고폰은 같은 기기라도 5~10만 원 정도 더 비싸게 거래돼요. 그만큼 매력적이기도 하고, 구매 후 고장이나 배터리 교체 시에도 부담이 줄어드니까요.
🧾 아이폰 보증 상태에 따른 시세 차이 비교 📊
보증 상태 | 시세 차이 | 설명 |
---|---|---|
애플케어+ 잔여 있음 | +5~10만 원 | 수리/교체 비용 걱정 無 |
무상보증 잔여 있음 | +2~4만 원 | 배터리 교체 등 지원 가능 |
보증기간 만료 | 기본 시세 | 추가 비용 발생 가능 |

외관 및 기능 직접 점검
마지막으로는 외관과 주요 기능들을 직접 점검하는 단계예요. 아무리 내·외부 상태가 좋다고 해도, 구매 전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확인하는 과정은 꼭 필요해요. 특히 화면 잔상이나 터치 오류는 꼭 체크해야 해요.
확인할 항목은 많지 않아요. 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터치, 측면 버튼, 페이스ID/터치ID, 진동 기능, 충전 포트, 와이파이·블루투스 연결 상태 등 기본적인 사용 기능을 테스트해보는 게 좋아요.
잔기스나 찍힘이 있더라도 작동에 문제가 없으면 가격 협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액정 수리 이력이 있는 경우엔 구매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해요. 정품 부품이 아닐 수도 있거든요.
최종적으로는 ‘초기화 후 환영화면이 정상적으로 나오는지’까지 확인하면 완벽해요. 이렇게 아이폰 중고 체크리스트를 하나하나 따라가면 정말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어요! 🍏
FAQ
Q1. 아이폰 모델명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A1. 설정 > 일반 > 정보에서 ‘모델명’과 ‘모델 번호’를 확인할 수 있어요.
Q2. 리퍼폰인지 정품인지 구별하는 방법은?
A2. 모델 번호의 첫 글자가 M이면 정품, N이면 리퍼폰이에요.
Q3. IMEI 번호 조회는 어디서 하나요?
A3. 스마트초이스나 KAIT 단말기 등록 사이트에서 가능해요.
Q4. 활성화 잠금은 무엇인가요?
A4. iCloud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초기화해도 잠금되는 기능이에요. 반드시 해제 확인이 필요해요.
Q5. 배터리 최대 용량은 몇 % 이상이 좋은가요?
A5. 90% 이상이면 우수, 85~89%는 양호, 80% 이하는 교체 고려가 필요해요.
Q6. 애플케어 여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A6. checkcoverage.apple.com에서 IMEI 입력하면 보증 여부를 알 수 있어요.
Q7. 해외판 아이폰은 사면 안 되나요?
A7. 기능 제한(셔터음, 통신 호환 등)이 있어 국내판이나 자급제 기기를 추천해요.
Q8. 초기화 후 '환영합니다' 화면이 왜 중요하죠?
A8. 해당 화면이 떠야 활성화 잠금이 해제됐고, 정상 거래가 가능한 상태예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터치 지원 테트리스 🎮
점수: 0 | 단계: 1